springboot (2) 썸네일형 리스트형 static inner class를 spring에 bean으로 등록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초편을 듣다가 static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inner class인 TestConfig에서 static을 빼고 실행을 하니 "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이라는 에러가 뜨는데 static을 빼니 에러가 뜨면서 컨테이너 생성 및 bean 생성이 되지 않았다. class StatefulServiceTest { @Test void statefulServiceSingleton(){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Config.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1 = ac.getBean(Stateful.. [springboot] 스프링부트 빌드하고 실행하기 Gradle 기반으로 빌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스프링부트는 톰캣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배포를 하고나서 jar를 실행해주기만 하면 바로 실행이 된다. #window 빌드하는 방법 1. 명령 프롬프트(cmd)로 이동 2. 실행하려는 파일 경로를 입력해준다. C:\Users\사용자\springboot\hello-spring 경로를 모르겠으면 dir를 입력하여 경로 확인! (max같은 경우에는 ls) 3. gradlew.bat 실행 (max의 경우에는 ./gradlew build) 4. build\libs>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실행 cd build (빌드 폴더로 이동) cd libs (libs 폴더로 이동) java -.. 이전 1 다음